티친님인 느림님, 엔제이무니님, 시골아빠님의 리뷰를 보고
아몬드를 읽어 보고 싶었습니다.
손원평 작가의 소설로 제 10 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입니다.
5월 초, 큰 언니에게 선물 받았으나 종이책 읽느라
모셔두었던 e-book reader 킨들로 읽어보기로 했습니다.
헐~ 한글책은 변환과정을 거쳐야 킨들로 읽을 수 있었네요.
친절한 포스팅을 요리조리 따라하니 아몬드가 킨들로 들어갔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CynY/btqET7yS75g/tcfoxEAKpey5GgzW3dgfi1/img.jpg)
아몬드 줄거리
편도체 이상으로 감정을 느낄 수 없는 윤재와
4살 때 미아가 되어 밑바닥을 전전하며 거칠어진 곤이가
열일곱 살에 조우하며 성장하는 이야기입니다.
윤재 엄마는 어린 윤재에게 말합니다.
튀지 말아야 돼. 그것만 해도 본전이야.
윤재엄마가 주입식으로 감정을 가르치는 부분이 재치 있네요.
‘친구들이 새 학용품이나 장난감을 설명할 때,
그건 설명이 아닌 자랑이니까
모범 답안은 ‘좋겠다’이고 감정은 ‘부러움’이다.’는 식.
곤이 엄마는 아들을 사무치게 그리워하다 병들어 죽어갑니다.
그러나 윤 교수는 십삼 년 만에 찾은 아들 곤이 대신
곤이를 닮은 윤재에게 아내를 만나달라고 부탁하지요.
곤이가 너무도 불량하기 때문에.
곤이 엄마는 윤재를 만난 며칠 후 하늘나라로 갑니다.
전학 첫날부터 문제아로 낙인찍힌 곤이.
윤재는 그런 곤이가
사실은 누구보다 여리고 투명한 아이라는 걸 알아봅니다.
곤이가 윤재에게 자신의 엄마에 대해 묻는 장면이 인상적이었습니다.
‘그 여자’ 어땠냐고...
난폭한 가면을 벗고 울음이 터진 곤이를 따라 울었네요.
윤 교수는, 자신이, 아들에게, 어.떤. 짓.을, 했는지, 알까요...
세상의 편견과 낙인을 뒤로 하고
곤이는 자신이 살던 세계로 갑니다.
곤이가 있는 암울한 밑바닥으로 윤재가 찾아갑니다. 친구니까.
곤이는 윤재와 함께 밝은 세상으로 나올수 있을까요?
한 번 읽어보시길 권합니다.
아몬드 독후감
편도체 이상으로 감정을 느낄 수 없는 윤재는
우정도 사랑도 느끼는 아이로 성장했습니다.
감정을 느낄 수 없지만 끝내 괴물이 되지 않은 건
엄마와 할멈(외할머니)의 지극한 사랑이 있었기 때문이겠지요.
윤재의 무표정에 쏟아지는 따가운 눈총과 괴롭힘.
나와 조금 ‘다르다’는 이유로
‘틀리다’고 선을 그어버리는 건 아닌지...
암흑세계로 돌아간 곤이를 구한 건, 윤재의 우정이었지요.
윤재에게 감정을 채색 해 준 건, 곤이의 우정이었습니다.
철사라는 인물은 외모가 놀랍도록 아름답지요.
목소리는 다정다감하고요.
그러나 다 열거할 수 없는 범죄를 저지른 인물입니다.
곤이와 철사를 통해 작가는 환기시키고 있습니다.
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고.
![]() | ![]() |
소설 마지막 부분에
윤재의 살뜰한 보호자 역할을 해 준 심 박사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.
참 좋은 사람 심 박사가 텔레비전을 보고 있습니다.
화면은 지구 어딘가에서 벌어진 전쟁으로
두 다리와 한쪽 귀를 잃고 울고 있는 소년을 비춥니다.
윤재의 기척을 느낀 심 박사가 고개를 돌립니다.
심 박사는 다정하게 웃으며 인사를 건넵니다.
윤재가 독백합니다.
‘하지만 묻지 않았다. 왜 웃고 있느냐고.
누군가는 저렇게 아파하고 있는데,
그 모습을 등지고 어떻게 당신은 웃을 수 있느냐고.
비슷한 모습을 누구에게서나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.
채널을 무심히 돌리던 엄마나 할멈도 마찬가지였다.
너무 멀리 있는 불행은 내 불행이 아니라고, 엄마는 그렇게 말했었다.’
이 장면을 통해 작가가 묻고 있네요.
“편도체가 정상인 여러분은
타인의 고통과 불행에 어떻게 반응하고 계신가요?”
당신이 좋아할 만한 글
(↓아래 공감♡ 누르기는 제게 더 잘 쓰라는 격려가 됩니다~)
'나를 키우는 당신의 컨텐츠 > 도서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스라이팅 예시, 가스라이팅 테스트 (31) | 2020.06.27 |
---|---|
황진이 시조 동짓달 기나긴 밤... 외 (35) | 2020.06.18 |
애쓰지 않고 편안하게 김수현 글 그림 (29) | 2020.06.05 |
괜찮아 내 인생의 주인공은 나니까 (24) | 2020.05.20 |
방구석 미술관 7 폴 고갱 (28) | 2020.05.08 |